프로젝트

이산화탄소 센서와 릴레이로 환풍기 제어하고 LCD에 값 표기하기 (CO2 Sensor MG811) (Relay) (panmot…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메카 작성일16-03-17 18:41 조회10,367회 댓글0건

본문

 안녕하세요 이산화탄소 센서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측정하고, 수치에 따라 팬 모터를 제어해보겠습니다.


02cd46d8a607ca14b01d10ead866e139_1458207

02cd46d8a607ca14b01d10ead866e139_1458207
 

 

 

 

 이산화탄소 센서 배우기

 

이산화탄소 센서 원리와 기본 예제는 >> 여기 <<를 클릭하시면 이동됩니다.

 

위의 링크에서 이산화탄소 센서의 원리와 기본동작을 배우셨을 것입니다.

 

이를 응용하여 이산화탄소가 400ppm 이상이 되면 릴레이를 동작시켜

환풍기를 킬 것이며 400ppm 미만이 되면 환풍기를 끌 것입니다.

 

그리고 이산화탄소 센서의 값을 LCD에 표기할 것입니다.

 

 

 회로 구성하기

 

준비물 : 아두이노 우노 ,브레드 보드 ,릴레이 모듈 ,이산화탄소 센서 ,다량의 M-M점퍼선 ,다량의 F-M점퍼선 가변저항 (10K) , 팬모터 , 16 X 2 LCD

 

팬모터는 실제 환풍기의 제품을 사용해도 무관합니다.

회로도가 복잡하여 3개로 나누겠습니다. 회로도를 구성하실 때 3회로도를 합쳐주셔야 합니다.

 

LCD 회로

02cd46d8a607ca14b01d10ead866e139_1458207
 

 

릴레이, 팬모터 회로

 

02cd46d8a607ca14b01d10ead866e139_1458207
 

 

회로도의 DC 모터가 팬모터이며 외부전원의 전압은 사용하실 DC 모터에 따라 달라집니다.

 

릴레이의 2번째 선은 NC로 사용하지 않습니다.

 

이산화탄소 센서

 

02cd46d8a607ca14b01d10ead866e139_1458207
 

 

 

 

저는 회로를 구성하여 박스에 넣어 실내 공간의 이산화탄소를 센싱 하는 컨셉으로 만들어 보았습니다.

 

하지만 인위적으로 이산화탄소를 넣을 방법이 없어 결국 센서만 꺼내어 입으로 바람을 불어 측정하였습니다.

 

​프로젝트를 구성하실 땐 센서도 박스안에 넣으셔서 센싱하셔도 됩니다.

​박스에 LCD, 아두이노 케이블 , 팬모터가 나올 수 있는 각각의 구멍을 뚫어줍니다.

02cd46d8a607ca14b01d10ead866e139_1458207 

​ 

(적절한 박스가 없어 sparkfun 박스를 사용하였습니다.)​

저는 LCD에 헤더핀을 납땜하여 핀들로 박스를 뚫어 F-M 점퍼선을 이용해 회로를 구성하였지만

 

프로젝트 만드실 땐 LCD 디스플레이만 나오게 구멍 뚫어서 붙이시는 걸 권장합니다!

팬모터의 외부전원을 넣을 땐 박스 뒤에 살짝 구멍 내어서 연결하시면 됩니다.

​ 프로그래밍 만들기

소스 코드와 라이브러리는 첨부하였습니다.

 

 

      

   

 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 

 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

 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

 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    

 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        

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 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   

 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     

                  

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 

    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     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     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    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     
     


   

 

 
     
     
      
      
     
      
      
   
    
    
       
      
          
        
      
    
      
        
        
     
          
      
      
        
      
         
       
       
          
        
     
       
          
       
    
   
     
    
    



  




  

     
      
     
    
          
        
    
        
       


     

     
   
       
   
   
    
        
   


 

 

 

동영상

 

(바람소리가 클 수도 있습니다. 볼륨을 조절하세요!)

 

 

 

우선 릴레이와 팬모터 소리와 휴지의 움직임을 보시면 아시겠지만

400ppm이 넘으면 릴레이가 똑! 거리면서 팬모터를 킵니다.

 

값이 감소하면서 잡음이 발생하긴 하는데 안정화가 되면 정상 동작이 됩니다.




※ 잡음의 이유를 찾았습니다. 릴레이 모듈의 전원을 아두이노로 공급하지 마시고,

외부전원 5V를 따로 인가해주시면 문제없이 잘 동작됩니다.


그리고 오작동이 될 시 전류가 모자라서 생기는 문제입니다.


입력 전류를 더 높히셔야합니다.

 ​

02cd46d8a607ca14b01d10ead866e139_1458207
 

크흠..

어쨌든 춥더라도 건강 생각하면서 자주 환기합시다! ​

02cd46d8a607ca14b01d10ead866e139_1458207

 

출처 [메카솔루션] http://Mechasolution.com 

 

 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
모바일 버전으로 보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