강수량[降水量]은 비나 눈, 우박 등과 같이 구름으로부터 땅에 떨어져 내린 강수의 양을 말합니다.
참고로 일정 기간 동안에 내린 눈의 양은 강설량[降雪量]이라고 합니다.
센서의 프로그램 코드입니다.
// lowest and highest sensor readings:
const int sensorMin = 0; // sensor minimum
const int sensorMax = 1024; // sensor maximum
void setup() {
// initialize serial communication @ 9600 baud:
Serial.begin(9600);
}
void loop() {
// read the sensor on analog A0:
int sensorReading = analogRead(A0);
// map the sensor range (four options):
// ex: 'long int map(long int, long int, long int, long int, long int)'
int range = map(sensorReading, sensorMin, sensorMax, 0, 3);
// range value:
lcd.setCursor(0,0);
switch (range) {
case 0: // Sensor getting wet
lcd.print("Flood ");
break;
case 1: // Sensor getting wet
lcd.print("Rain Warning");
break;
case 2: // Sensor dry - To shut this up delete the " Serial.println("Not Raining"); " below.
lcd.print("Not Raining ");
break;
}
delay(1); // delay between reads
}
밖에서 인식이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,
이 프로그램 코드에 LCD코드를 추가한 뒤,
물뿌리개로 비를 대처해서 확인해보았습니다.
빗물이 없을 때에는 Not Raining
비가 인식이 되면 Rain Warning
비가 많이 인식이 될 경우에는 Flood
로 나타나게 됩니다.
테스트 할 때 모듈이나 아두이노 보드는 물에 닿으면 안됩니다.
동작 원리는 어떻게 될까요?
그림을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엄밀히 말하면 공기의 저항(절연)도 있지만, 편의상 공기의 저항을 무한대( ∞ )로 표기하겠습니다.
아무것도 없을 때는 니켈(도체)로 구성된 판이 서로 떨어져 있으므로,
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.
하지만, 빗물에는 먼지나, 기타 기체 등 불순물이 용해(포함)되어 있으므로
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되고, 빗물이 많이 감지될 수록 저항값이 떨어지게 됩니다.
그러므로, 빗물이 많이 감지될수록 아두이노에 감지되는 값이 점점 낮아집니다.
오늘의 궁금증
Q1. 공기의 절연(전기가 흐르지 않음)이 얼만큼 될까?
이 해답을 구하기 위해서는 송배전 공학분야로 가게 됩니다.
사진을 하나 볼까요?
위 같은 현상을 코로나 현상이라고 합니다.
(흔히 알고 있는 지구과학에 나오는 태양대기의 가장 바깥층을 구성하는 것과는 다른 의미입니다.)
최신댓글